티스토리 뷰

동네한바퀴 1월 11일 토요일 302회 방송된 김포 목판 제작 41년 장인 손영학 연락처 주소에 대한 정보를 소개합니다. 아래 글을 통해 김포 목판 제작 장인 손영학 연락처 연구소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목판 장인 손영학의 인생 이야기

한옥마을을 걷다 보면 전통문화의 향기가 물씬 풍긴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정교한 문양이 새겨진 떡살이다. 단순히 떡을 찍는 도구라고 하기엔 예술작품에 가까운 섬세함이다.

이 떡살의 주인공은 바로 목판 제작 41년 경력의 손영학 장인. 그의 손끝에서 탄생한 작품들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전통의 아름다움을 담아내고 있다.

 

 

운명처럼 다가온 목판 복원

손영학 장인은 원래 육상선수 출신의 체육교사였다. 그러나 시문학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던 중, 우연히 목판 작업을 배우게 되었다. 그의 스승은 사라진 전통을 복원하라는 뜻깊은 임무를 제안했고, 그렇게 손 장인은 목판 복원의 길에 들어섰다.

의 첫 복원 작업은 화재로 소실된 김홍도의 오륜행실도였다. 이 작품을 시작으로 그는 소실된 고전 작품들을 차례로 되살려냈다.


잃어버린 고전의 부활

손 장인이 복원한 작품들은 하나같이 한국 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다. 심청전, 홍길동전, 춘향전,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본까지. 그의 손끝에서 되살아난 목판들은 과거의 유산을 현재로 이어주는 다리가 되었다.

작품 하나를 완성하려면 하루 8시간 이상 작업하며 최소 40일이 걸린다. 이처럼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장인은 한 자 한 자에 온 정성을 쏟으며 전통을 복원하고 있다.

 

 

 

 

 

 

 

마지막 소망, 대동여지도 복원

현재 손영학 장인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목판 복원에 몰두하고 있다. 지난 4년간 작업한 결과로 절반 정도를 완성했으며, 남은 생애 동안 이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 그의 마지막 목표다.

"전통을 잇는 것은 후대에 남길 수 있는 가장 큰 유산"이라며 그는 오늘도 조선의 인쇄기술을 되살리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예술혼을 새기다

목판은 단순한 나무 조각이 아니라 선조들의 지혜와 혼을 담아내는 작업이다. 손영학 장인은 사라진 전통을 복원하며 한국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세상에 알리고 있다.

그의 손끝에서 되살아난 작품들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고리가 되어 후대에 깊은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 김포 목판 제작 손영학 장인

 

▶ 은곡전통목판연구소

경기 김포시 모담공원로 170-1 

O1O-9953-4O97